‘기러기’ 시민권자들 긴장 연방정부 이중국적 재검토에

많은 개인과 이민자 단체들이 연방정부의 ‘이중국적(dual citizenship)’ 허용 재검토의 결과를 우려하고 있다. 몬트리올의 러시아계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스베틀라나 리트빈씨는 “우리 커뮤니티의 많은 사람들이 러시아 및 주변국가들을 오가며 사업을 하고 있다”며 “이같은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겐 이중국적이 큰 혜택이 된다”고 말했다. 홍콩캐나다실업인협회(Hong Kong Canada Business Association)의 이사인 에드먼튼 회계사 새뮤얼 영씨는 “중국에서 사업할 기회가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이중국적 정책을 재고할 경우 많은 관계자들이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수 있다”며 “지금은 이중국적자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큰 이득을 누릴 수 있는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연방정부는 이중국적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아직까지 밝힌 적은 없으나, 이민성 대변인은 어쨌든 이같은 정책의 재검토가 시작됐음을 18일 전했다. 몬테 소버그 이민장관의 페마 라룽파 보좌관은 “앞으로 수개월에 걸쳐 시민권자의 의무와 책임 등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선 언급을 거부했다. 이번 재검토는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무장세력과의 전투가 벌어졌을 때 레바논에 거주하는 캐나다시민권자들을 대피시키는 데 쓴 비용 때문에 촉발됐다. 지난 7월 전투가 벌어졌을 당시 캐나다대사관에 등록된 시민권자는 4만 명에 달했다. 오타와는 8,500만 달러를 들여 유람선 등을 전세해 이 중 1만5천 명을 대피시켰다. 대피했던 사람 중 약 7천 명은 현재 레바논으로 되돌아간 상태다. 캐나다는 77년부터 이중국적을 허용했다. 연방통계국에 따르면 국내에 현재 거주하는 이중국적자 수는 약 50만 명에 달한다. 그러나 해외에 거주하는 캐나다시민권자 수는 제대로 집계된 적이 없다. 약 25만 명의 캐나다국적자들이 거주하는 홍콩에선 연방정부의 이같은 정책 재검토에 대한 뉴스가 연일 신문의 1면을 장식하고 있다. 12살 때 부모와 같이 캐나다로 이민 왔다가 5년 전 홍콩으로 되돌아온 캐나다시민권자 대니 마씨는 “벌써부터 많은 사람들이 국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가능성에 대해 크게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밴쿠버의 이민변호사 조슈아 손씨는 “현재 캐나다를 포함한 세계 90여 국가들이 이중국적을 허용하고 있고, 캐나다 거주 이중국적자 수는 91년부터 2001년 사이에 세 배나 늘었다”며 “연방정부는 레바논사태에 대한 반사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이중국적 정책을 쉽게 무효화시키진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료: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