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지·세금·보험 등 ‘적정 주택비용’ 소득의 25% 이내가 최적

70~80년대에 주택을 구입한 사람들은 무리를 하더라도 최대한 많은 액수의 모기지를 대출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당시만 해도 모기지 대출기관이나 모기지 상품이 많지 않았고 모기지를 받기가 현재보다 훨씬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같은 과도한 모기지 지출로 인해 은퇴계획이나 자녀의 대학 학자금 준비 등을 소홀히 하게 되고 주택을 차압이나 경매로 빼앗기는 경우도 흔했다. 융자 전문가들은 당시와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진 오늘날에도 대다수의 홈바이어들이 과도한 모기지 대출을 받고 있다고 지적한다. 물가상승률이 높았던 70~80년대에는 두 자릿수의 소득증가를 기대할 수 있었으나 현재의 한 자릿수 소득 증가로는 높은 페이먼트를 내는 것이 위험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70년대와 80년대만 해도 부부 중 혼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 필요할 경우 배우자가 일을 하면 됐었으나 현재는 부부가 모두 일을 해야 페이먼트를 낼 수 있다. 따라서 한 배우자가 직장을 잃으면 바로 모기지 페이먼트를 내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당시는 대다수의 근로자들이 회사가 제공하는 전통적인 은퇴계획을 갖고 있었으나 현재는 근로자들이 자신의 은퇴플랜까지 직접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모기지 페이먼트를 피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로 지적된다. 재정 전문가들은 홈바이어들에게 먼저 주택에 들어가는 경비가 정확히 얼마인지를 파악하라고 권고한다. 전통적으로는 모기지 페이먼트에 재산세·주택보험 등을 모두 합친 주택 관련 지출이 전체 소득의 28% 이하를 적정선으로 보았으나 현재 많은 재정 전문가들은 25% 이하를 적정선으로 보고 있다. 대학 진학을 앞두고 있는 자녀가 있거나 은퇴를 준비해야 하는 40대 이상의 경우 주택 관련 지출 비율을 더욱 줄여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특히 앞으로 이자율이 완만하나마 장기적이고 꾸준한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 내고 있는 페이먼트 액수를 겨우 감당할 수 있다면 위험부담이 높다. 모기지의 종류에 따라 페이먼트 스케줄이나 액수가 변할 수 있으며 고정이 아닌 변동 모기지를 가지고 있는 주택 소유주들은 페이먼트가 언제부터 급증하는지를 파악을 해야 한다. 반대로 신용카드 등 빚이 거의 없거나 공무원이나 교사 등 정부가 제공하는 은퇴플랜이 있는 경우, 또 앞으로의 수입 전망이 확실한 사람들은 부채 비율이 25%를 넘어도 무방하다. 현재 대다수의 금융기관들은 모기지 대출액수를 정하면서 신청자가 신용카드 등 각종 빚을 갚는 데 사용하는 비율이 소득의 36%를 넘을 경우에는 모기지 대출액수를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