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 살아나면 캐나다도…” 오바마 정부 1조5000억달러 부양책 시행 임박

미 오바마 행정부가 납세자 1인당 1만달러에 달하는 경기부양자금을 시중에 풀 것으로 예상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조5000억달러라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경기부양(8270억 달러)과 구제금융(7000억 달러)으로 풀리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한인 경제 전문가들은 캐나다 경제도 미국과 함께 서서히 회복될 수 있다며 그러나 연방정부와 중앙은행은 너무 낙관적으로 대처하지 말고 강력한 부양책을 펴야한다고 주장했다. ▲손종호(MBA, TD은행)= 오바마 정부가 과거 일본의 10년간 경제침체를 교훈삼아 적극적으로 빠른 금융 정상화를 원하고 있다. 좀더 풀어야 할 수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적재적소에 서둘러 투입하는 것이다. 효력이 일찍 나타나면 캐나다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되지만 지연되면 문제가 생긴다. 우리 정부 및 중앙은행의 부양책은 다른 나라에 비하면 보잘 것 없다. 좀더 적극적인 경기부양에 나서야 한다. 너무 낙관적으로 대처하는 것 같다. ▲김경태(경제학박사) 재정상담가= 전례 없는 규모다. 미 경제가 살아나면 캐나다는 물론 중국 등 해외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금리로 최저로 가져가도 약발이 먹히지 않아 대안이 없었다. 물가나 부채증가보다 경제를 살리는 것이 최우선이다. 얼마나 빨리 부양책이 정상 작동하느냐가 문제다. 이번 사태는 부동산에서 출발했다. 집값이 떨어지면 소비자들이 직접 피부로 느껴 불안 심리가 가중된다. 대출이 어려워 좋은 집이 나와도 사지 못한다. 실제보다 더 위축된 느낌이 들며 캐나다도 더 적극적으로 부양책을 펴야한다. ▲유종수 전 알고마대 교수= 미국은 더 풀어야 한다. 대부분 2년간에 걸쳐 서서히 자금이 투입된다. 미 정부가 금융기관의 부실자산 일정부분을 보증하면 대출여력이 생겨 호재다. 주택 소유주들의 모기지나 자동차 대출을 쉽게 하는 등의 다방면의 조치가 이뤄질 것이다. 사실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다. 기업은 투자에 적극 나서고 개인은 고용불안이 없으며 은행은 마음을 놓고 대출해야 한다. 최근 원자재 가격이 서서히 반등하고 국제해상운임지수도 오르는 등 경기회복 기대감도 일고 있다. 주가도 지난 12월에 바닥을 친 후 15% 정도 상승했다. 속단하기 이르지만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자료: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