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분위기 ‘살리고 죽이는’ 주택조명 거주자 성격·건강까지 영향

밝기, 공부방>욕실>거실 순 ’50촉 2개’보다 ‘100촉 1개’ 조명은 집안 분위기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 가운데 하나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조명에 따른 무드가 장기적으로는 성격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한다. 반대로 조명스타일을 보면 그 집에 사는 사람의 성격도 부분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주택의 조명공간은 크게 거실·침실·주방·욕실 정도로 나눠볼 수 있다. 이들 생활공간은 나름대로의 특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거실조명은 밝고 단순한 것이 좋다”고 말한다. 경제적으로 넉넉한 가정에서는 거실조명을 화려하게 하기도 하는데, 상시 거주하는 식구들이나 손님들에게나 그리 좋지는 않다. 거실조명은 오랫동안 두고 봐도 크게 싫증나지 않는 스타일을 권유하는 전문가들이 많다. 지나치게 밝을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너무 어두워서도 곤란하다. 한인들의 경우 할로겐등 등 전반적으로 조도가 다소 높은 조명을 선호한다. 전기료를 아낀다는 측면에서는 형광등도 괜찮다. 침실은 잠을 자기 위한 곳인 만큼, 편안한 느낌을 주는 조명이 필요하다. 한때 부부침실등으로 핑크계통이 유행하기도 했지만 정서안정 측면에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등을 켜고 있는 시간이 길지 않으므로 전기를 많이 잡아먹는 백열등도 무방하다. 주방은 거실보다는 좀 더 밝고 장식이 화려해도 괜찮다. 주방과 거실이 서로 열려 있다면 두 곳의 조화를 꾀해야 한다. 화장실은 습기가 많은 곳이므로 분위기보다는 안전성 위주로 등을 설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백열등이 무난하다. 화장실 공간이 큰 편이라면 형광등 계통도 좋다. 공간별 적정조도 백열등이냐 형광등이냐 등의 광원의 특성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밝기다. 조명의 밝기는 건강과도 직결된다. 일반가정에서라면 가장 밝아야 할 공간은 자녀의 공부방이다.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750룩스(Lux), 화장이나 면도 등이 이뤄지는 공간은 500룩스 안팎이면 된다. 응접실의 경우는 200룩스면 무난하다. 그러나 바느질을 한다든지, 그림 그리기 등 세밀한 작업이 이뤄지는 공간은 공부방보다 더 밝을 정도로 조도가 충분해야 한다. 주변과의 조화 조명은 벽·가구·커튼 등 주변과 어울려야 어색하지 않다. 조명기구는 실내에서 가장 중요한 인테리어요소 중 하나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조명인테리어의 기본은 유유상종. 주변과 일체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벽지의 색깔이 단색이고 심플하다면 조명기구 역시 심플한 것을 택하는 게 좋다. 이런 공간에서 화려한 조명기구는 지나치게 도드라져 보이기 때문이다. 반면 꽃무늬가 있고 색깔이 화려한 벽이라면 조명 역시 화려한 느낌을 주는 것이 좋다. 조명 주변의 가구도 마찬가지다. 철제나 플라스틱 등의 소재에 모던스타일을 강조한 가구라면 조명 역시 비슷한 계통이, 중후한 목재가구에는 묵직한 느낌을 주는 조명이 어울린다. 절전요령 관리하는 요령에 따라 전력소모량에 큰 차이가 나는 것이 조명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점등시간이 길어지는 까닭에 전력사용량이 늘어나게 마련이다. 웬만한 4인 가정의 주택이라면 실내외 합해 전등이 보통 20~30개에 이르는데 관리하기에 따라 전기소모량은 2배 이상 차이가 날 수도 있다. 조명전기 절약을 위한 첫걸음은 쓰지 않는 등을 끄는 것이다. 어린 자녀들의 경우 절약개념이 희박하므로 절전에 특히 신경을 쓰도록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조명기구를 깨끗이 관리하는 것도 에너지 절약의 지름길이다. 무엇보다 전구나 튜브 등에 끼어있는 먼지를 자주 닦아내야 한다. 먼지는 조도를 최고 50%까지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불필요하게 밝은 전등이 없는지도 점검한다. 에너지효율이 높은 전구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형광등의 경우 백열등보다 보통 75% 가량 전력소모를 줄일일 수 있다. 같은 조도라도 50와트짜리 2개를 쓰는 것보다 100와트짜리 1개가 전기도 덜 들고 더 밝다. 실외의 경우 타이머나 물체 감지장치 등이 달린 조명기구가 점등·소등도 편리하고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자료:한국일보)